JJANG-JOON
반응형
article thumbnail
[ 클라우드 ] CSAP -CCE 취약점 가이드--(XE-01. Default 계정 관리)
클라우드 2023. 10. 10. 00:59

**CCE(Common Configuration Enumeration)는 시스템의 취약한 설정에 대한 점검 진단항목 XE-01. Default 계정 관리 취약도 중 항목설명 시스템에서 이용하지 않는 Default 계정 및 의심스러운 특이한 계정의 존재 유무를 검사하여 삭제한다.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확실한 아래의 계정들과 의심스러운 계정을 삭제하도록 하며 일반적으로 로그인이 필요치 않은 시스템 계정들은 로그인을 금지시킨다. OS나 Package 설치 시 Default로 생성되는 계정은 대부분 Default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패스워드 추측공격에 악용될 수 있다. ( lp, uucp, nuucp 계정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계정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용되지..

article thumbnail
[시스템] 바인드 쉘 ? 알아볼게요 ( with. shell script )
시스템 2023. 8. 18. 13:59

바인드 쉘❓ 바인드 쉘은 해커가 원격 시스템에 접근하여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로, 서버에서 서버 포트가 열리고, 클라이언트(공격자)가 서버로 접속하여 생성하는 쉘 일반적인 서버 접속하는 형태이다. 바인드 쉘 공격 절차 포트 선택: 공격자는 바인드 쉘을 실행할 포트 번호를 선택하는데 이 포트는 공격자가 접근할 때 사용된다. 바인드 쉘 실행: 선택한 포트에서 리스닝하는 쉘을 실행시킨다. 이때 공격자는 해당 포트로 접근하면 쉘이 실행되어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연결 시도: 공격자는 바인드된 쉘이 실행된 시스템의 IP 주소와 선택한 포트로 연결을 시도한다. 원격 조작: 연결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해당 쉘을 통해 명령어를 전송하여 시스템을 원격으로 조작하고 제어할 수 있다. 공격 시나리오 공격자가..

728x90
반응형
profile o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