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네트워크] 프로토콜 : 네트워크 통신의 핵심
JJANG-JOON
2023. 8. 14. 11:12
반응형
프로토콜
프로토콜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규칙과 규약의 집합을 말하며 이 규약들은 데이터의 전송 방법, 포맷, 에러 처리 등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프로토콜은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필수적이다.
프로토콜은 수신자와 송신자 간의 약속된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형식은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헤더에는 데이터의 속성과 전송에 필요한 메타데이터가 들어있으며, 페이로드에는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된다.
프로토콜은 이러한 형식을 따르기 때문에 호환 가능한 장치 간의 통신을 보장한다.
프로토콜은 여러 계층으로 나뉘어 진화해왔고 OSI 7계층이나 TCP/IP 4계층과 같은 모델은 각 계층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를 단순화시켰다.
용어정리:
- IP 주소: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 포트 번호: 하나의 컴퓨터 내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숫자이다.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 UDP (User Datagram Protocol): 비연결성 프로토콜로, 빠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지만 신뢰성은 떨어진다.
활용:
프로토콜은 웹 브라우징, 이메일, 파일 전송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HTTP 프로토콜은 웹 페이지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며, SMTP 프로토콜은 이메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프로토콜들의 올바른 구현과 사용은 원활한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반응형